안녕하세요, 심정병원입니다. 현대인들에게 제일 많이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가 두통이 아닐까 싶습니다. 심하신 분들은 만성두통을 앓고 다니시기도 합니다. 대개 발생하는 두통은 일시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점차 호전됩니다. 하지만 간혹 두통의 지속도가 오래 발생할 경우에는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생길 만큼 불편함을 호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 심정병원 뇌신경센터에서는 지속적인 두통 없애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현재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생기신 분들은 오늘의 포스팅을 읽고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두통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른 질환들도 다양한 원인에서 발생하듯이, 두통 또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두통의 종류에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하게 됩니다. 1 차성 두통 / 2 차성 두통이 있는데 각 두통에는 어떤 특징들이 있을까요? 많은 분들께서 느끼시는 두통은 1차성 두통에 해당합니다. 특별한 질환 없이 발생하고는 있지만, 스트레스나 과로, 호르몬 변화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1차성 두통이란?
- 특별한 질환 없이 발생하는 두통으로, 스트레스나 과로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두통
1차성 두통 종류
01. 긴장성 두통
02. 편두통
03. 군발두통 등
2 차성 두통의 경우에는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입니다. 2차성 두통이 발생하게 된다면, 최악의 상황의 경우 위험한 일이 발생할수도 있기 때문에, 바로 뇌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2차성 두통이란?
- 뇌, 외상, 내과 질환등 뚜렷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
2 차성 두통 종류
01. 뇌혈관 질환
02. 뇌수막염
03. 뇌종양 등
지속적인 두통 없애는 방법은?
어떠한 질환이든, 원인을 알아야 해결이 가능합니다. 1 차성 두통의 경우에는 특별한 질환 없이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두통이기 때문에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를 최대한 받지 않고 충분한 숙면과 술과 담배를 줄여주는 것이 좋은데요, 그 외에도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거나 마사지를 통해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차성 두통의 경우
01. 스트레스 최소화 하기
02. 충분한 숙면과 술과 담배를 줄여주기
03.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거나 마사지해주기
2 차성 두통의 경우에는 바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뇌mri/mra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진행하여 원인을 완전히 해결해 줘야 합니다. 2차성 두통의 경우에는 간혹 방치하여 골든타임을 넘기는 경우에는 심각한 경우 사망까지 이르게 되기 때문에 반드시 조치를 해주셔야 합니다.
2차성 두통의 경우
01. 바로 병원에 가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필요
1 차성 두통인지 2 차성 두통인지 모르시다면?
계속 지속적인 두통은 있지만, 1 차성 두통인지 2 차성 두통인지를 아예 인지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상당수입니다. 그냥 단순히 머리가 아프다 정도로 생각을 하실텐데요, 1주일 넘게 극심한 두통으로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충분한 휴식과 숙면을 취했음에도 두통이 심한 경우, 진통제를 복용했음에도 통증이 계속 나타난다면 빠른 시일에 병원에 가셔서 검사를 받아주세요. 1차성 두통의 경우라도 계속 방치하게 되어 증상이 심해지면 2차성 두통으로 넘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미리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예방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상으로 심정병원 뇌신경센터에서 지속적인 두통 없애는 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뇌질환은 발생하면 치료하더라도 후유증이 남을 정도로 매우 위험한 질환입니다. 꼭 발생하기 전 예방법을 통해 건강한 일상생활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뇌신경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과학이 밝혀낸 초능력! 당신의 뇌신경을 깨우는 법 (0) | 2025.03.25 |
---|---|
일어날 때 어지러움 발생? 기립성 저혈압 원인 및 예방법 (0) | 2025.03.07 |
진통제를 먹어도 두통이 계속 발생한다면? (0) | 2025.01.10 |
건강검진 받기 전 ct/mri/mra 차이 알아보기 (1) | 2024.12.10 |
치매 검사 어디서 받아야 할까?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