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심정병원입니다. 누구나 한번쯤 갑자기 일어날 때 어지러움을 경험해 보신 분들이 계실 겁니다. 흔히들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부르는데요, 어쩌다 한번 발생하는 건 크게 상관은 없지만 지속적으로 자주 경험을 하신다면 검사를 한번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심정병원 뇌신경센터에서는 기립성 저혈압의 발생 원인 및 증상, 예방법까지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현재 자주 어지러움증을 느끼시거나 일어날 때마다 어지러움이 느껴지신다면 오늘의 포스팅을 꼭 읽고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그럼 한번 알아보러 가볼까요?
기립성 저혈압이란?
많은 분들께서 대략적으로 기립성 저혈압이라는 단어를 알고는 계시지만 정확한 정의를 알고 계시는 분들은 많지는 않으실 겁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Orthostatic Hypotension) 쉽게 말씀드려 갑자기 일어설 때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부족해지면서 어지러움, 두통,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뇌졸중이나 치매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리 각별히 신경 써주는 것이 바람직한 질환 중 하나입니다.
기립성 저혈압 원인 및 주요증상은?
건강한 일반인들도 어쩌다 한 번씩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어설 때마다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난다면 몸의 자율신경계 조절에 문제가 생긴 걸로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곧바로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증상 악화를 막아주는 길이기도 하지요. 그렇다면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 및 주요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기립성 저혈압 원인
01. 자율신경계 조절 이상 (파킨슨병, 다발성 신경병증 등과 관련)
02. 혈액량이 부족한 경우 (탈수, 출혈, 설사 등)
03.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발생 (혈압을 낮추고 혈관을 확장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04. 혈관 확장으로 인한 발생 ( 고온 환경 및 알코올 섭취)
기립성 저혈압 주요 증상
01. 어지러움 발생
02. 두통 및 시야 흐림 발생
03. 심장이 빨리 뛰는 느낌
04. 메스꺼움 및 심하면 기절 발생
※ 주로 오래 앉았다 일어날 때 발생, 아침에 자고 일어날 때 발생, 샤워를 하거나 운동 후 발생하게 됩니다.
기립성 저혈압 예방 및 치료방법은?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주로 보존적 치료법을 통해 증상을 호전시키기도 하지만, 생활습관만 개선하더라도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활습관을 먼저 개선해 주는 것이 제일 바람직한데요, 그래도 지속적으로 증상이 느껴진다면 다른 뇌신경 질환일 수도 있기 때문에 빠르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기립성 저혈압 예방법
01. 갑자기 일어서기보다는 의식적으로 천천히 일어나기
02. 하루 2L 이상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주기
03. 걷기나 스쿼트 운동을 통해 하체 근육 강화시키기
04. 꽉 끼는 옷보다 편안한 옷자림을 통해 혈액순환 유지해 주기
05. 술과 카페인은 줄여주기
기립성 저혈압 치료방법
01. 약물 치료 진행 ( 의료진의 판단하에 치료방법 제시 )
02. 압박 스타킹 착용 ( 다리를 압박하여 혈액이 다리로 몰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
03. 원인 질환을 치료 ( 신경계 질환이 원인이라면,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
이상으로 갑자기 일어날 때 어지러움 증 발생, 기립성 저혈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언제 어디서든 쉽게 발생하여 의외로 방치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데요, 생활습관 만으로도 충분히 예방 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을 통해 어지러움 없이 원활한 일상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두통 통증 예약 및 문의
1588-3330
http://www.shimjeong.co.kr/
심정병원
서울 관악구 신림동 척추·관절 병원, 척추·관절 비수술치료, 허리·목 디스크, 무릎관절염, 어깨통증, 건강검진, 운동재활센터
www.shimjeong.co.kr
'뇌신경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과학이 밝혀낸 초능력! 당신의 뇌신경을 깨우는 법 (0) | 2025.03.25 |
---|---|
지속적인 두통, 빠르게 없애는 방법은? (0) | 2025.02.21 |
진통제를 먹어도 두통이 계속 발생한다면? (0) | 2025.01.10 |
건강검진 받기 전 ct/mri/mra 차이 알아보기 (1) | 2024.12.10 |
치매 검사 어디서 받아야 할까? (0) | 2024.11.26 |